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v/Web

(2)
언제 Recoil을 쓰고 언제 Context API를 사용해야 하는지 매주 사내 스터디를 통해 개발 관련 지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고 있다. 코드 레벨에서 컴포넌트 내에서 API를 호출하고 호출된 결과값을 Recoil에 저장해 또 다른 컴포넌트에서 가져다 쓰는 과정을 설명했다. 그 과정에서 좋은 질문이 나왔다. "Recoil의 장점은 전역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인데 크게 멀지 않은데도 (컴포넌트 트리 간의 간격이 3~4 depth 정도) Recoil을 사용하는 이유가 있나요? Context API를 사용하는 게 낫지 않나요?" 내면에서는 자연스럽게 고착된 방식으로 Recoil을 사용해왔지만 크게 고민해보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감사하게도 고민 거리를 만들어주셔서 자세히 찾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찾아보고 정리된 생각들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Recoil 과 ..
Gitlab / Squash 사용하기 현재 회사에서 gitlab을 사용하고 있다. 보안 유지를 위해 현재 로컬 ip로 접속해 사용중인데 외부망으로 사용하면 얼마나 좋을까! 어디서든 접속할 수 있게....흑ㅠ 여튼, 요즘 PR(Pull Request)을 날리고 검토 후 Merge를 할 때 협의 사항이 필요해졌다. 1 Merge 당 대략 5~10개의 Commit 이 생기는데 Merge가 많아지면 Commit의 양이 크게 늘어나 커밋 히스토리 관리가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각 커밋의 내용이 충분하고 변화가 명확하면 모든 커밋들이 남아있는 게 맞지만 상대적으로 의미가 부족한 커밋들도 발생하기 마련이다. 그러다보니, 히스토리 추적이 어려워 좋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다. 그럴 때 ! PR을 올리고 Merge하기 이전에 우측에 있는 'Squash' ..

반응형